Jump to content

두비리의 잔향 - 알려진 문제 스레드


[DE]Yun
 Share

Recommended Posts

원문: 

 

안녕하세요 텐노 여러분,

두비리의 잔향 출시와 함께, 개발진들은 발생하는 모든 문제들을 면밀히 살펴보고 있습니다. 본 스레드에서는 플레이어분들의 경험에 영향을 끼치며, 대기 중인 다음 핫픽스 혹은 콘솔 인증 빌드 업데이트 수정에서 곧바로 수정될 최우선 순위의 알려진 문제점들을 정리해드립니다.

본 게시글에 모든 버그들이 기록된 것은 아니오나, 여러분께서 겪으신 문제들이 이 곳에 언급되지 않았다 해도 너무 불안해하진 마세요! 그래도 만약을 위하여 보고하고자 하시는 버그가 있다면 버그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버그 서브포럼에, 그리고 일반 버그 리포트 가이드라인에 따라 보고해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Spoiler

버그 보고는 워프레임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인식하고 수정하는데 필요한 핵심입니다. 그리고 저희는 현장에서 텐노 여러분을 괴롭히는 버그의 식별에 포럼의 도움을 크게 받고 있지요. 그리고 저희의 버그 대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포럼을 체계적으로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만한 몇 가지 절차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절차들은 개발진들이 고쳐야 할 문제점의 우선 순위를 정하는 데 도움이 되며, 커뮤니티 일원 여러분이 가장 필요로 하고 급한 부분부터 차근차근 해결해드릴 수 있도록 해 줍니다. 버그 포럼에 게시물을 올리시기 전에 다음 가이드라인을 참고해 주세요:

1) 검색하기! 적절한 주제의 버그 포럼 내에서 검색 기능을 사용하여 여러분께서 겪으신 버그가 이미 보고되었는지 확인해 주세요. 문제가 이전에 보고된 경우, 신규 스레드를 생성하는 대신 해당 스레드에 댓글을 달아주세요. 또한, 일부 문제점들의 경우 서포트를 통해서만 해결이 가능하니, 보고를 어디에 해야할지 모르시겠다면 이 스레드를 주의깊게 읽어주세요.

2) 분리하기! 다수의 버그를 발견하신 경우, 하나의 버그 당 스레드 하나로 분리해주세요. 동일한 아이템/어빌리티 등에 관한 버그더라도 여러 가지의 문제에 영향을 받아 초래된 결과일 수 있으므로, 각 버그가 아주 밀접하게 연관된 것이거나, 같은 종류의 버그가 두세가지 이상의 양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아닌 한은 스레드를 분리해 주세요.

가능한 한 다음의 정보를 제공해주실 수 있다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당 버그를 재현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 해당 버그를 확실하게 재현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주시면 문제 해결에 가장 큰 도움이 됩니다!
    • 해당 방법으로 재현해도 버그가 100% 발생하지 않는 경우, 얼마나 자주 이 문제가 발생했나요? (모든 미션? 1주일에 한 번? 딱 한번만 발생?)
  • 문제가 발생하기 직전에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었나요? 어떤 일을 하고 계셨나요?
  • 장비의 모딩 빌드 및 게임 설정을 제공해주실 수 있을까요?
  • 어떤 분대에서 어떻게 플레이하고 계셨나요? (혼자 하기, 호스트, 클라이언트)
  • 해당 버그의 이미지나 영상을 공유해주실 수 있을까요?
    • 문제가 발생하기 직전의 모습을 포함한 인게임 버그 재현 영상은 특히 가치가 큽니다! Nvidia의 Shadowplay 기능 혹은 OBS의 Replay Buffer 기능이 이러한 종류의 영상을 캡처하는데 특히 유용합니다.
  • 해당 문제가 게임의 현재 버전에서 여전히 발생하나요? 저희가 이미 해결되거나 오래된 문제를 추적하는 일이 없도록, 게임의 버전을 명시해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 크래쉬 리포터가 뜰 경우, 텍스트 입력 창을 무시하지 마시고 크래쉬가 발생한 순간 무엇을 하고 있었는지 생각나는 대로 정보를 제공해 주세요. 크래쉬 리포터를 발생시킨 문제를 리포트해주시는 경우, 해당 리포터 창에서 나타난 "WAR 번호" (WAR-123456 같은 형식입니다) 를 같이 제공해주시면 해당 문제들의 연관성을 확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겁니다.

3) 명시하기! 스레드의 제목은 해당 문제에 대한 정보를 꼭 명시해 작성해주세요. 아래와 같은 정보가 해당됩니다:

  • 해당 문제에 영향을 받는 게임 요소(들)
  • 이 버그로 인해 해당 요소들에 미치게 되는 영향

유익한 제목의 예:

  • 애쉬의 텔레포트 사용 이후 근접 마무리 일격을 수행할 수 없습니다.
  • 센티넬에 이벤트 배지를 장착할 시 잘못된 위치에 나타납니다.
  • 적합하지 않은 콘클레이브 등급의 플레이어들이 콘클레이브 매칭에 참여가 가능합니다.

다소 알아보기 힘든 제목의 예:

  • 이상한/웃긴/게임 고장나는 버그
  • "어... 그래서 이런 일이 일어났는데요..."
  • DE 이 버그들 당장 고치라고!!!

버그를 보고해주실 시 가능한 세부 정보를 많이 포함해주시기를 부탁드리며, 보고를 올리실 때 적절한 주제의 포럼이 맞는지도 꼭 확인해주세요. 가능한 경우, 해당 문제가 발생했을 시의 스크린샷을 첨부해주시면 더 좋습니다. 해당 버그를 확실하게 재현할 수 있는 방법을 아시는 경우, 해당 정보를 포함해주시는 것도 아주 좋습니다.

알려진 문제점 (조사 중 혹은 핫픽스 수정 대기중):

  • 클라이언트가 지하실 존으로 미션 재참가를 할 경우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드물게 두비리 내의 숨겨진 상자 목표의 진행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있습니다.
  • 성계 지도가 일반 모드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강철의 길 순환로로의 초대를 받아 참가할 경우 미션 내에서 강철의 길이 아닌 일반 미션값이 나타나는 문제가 있습니다.
  • 더블 탭 래트론 모드의 버프 아이콘에 발생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 순환로의 자칼 보스전에서 일부 장애물 혹은 지형지물이 자칼의 빔에 대한 엄폐를 제공해주지 않는 문제가 있습니다.

 

해결된 문제점:

Spoiler
Spoiler
  • 자칼 보스전에서 파라존 애니메이션이 재생되는 도중 호스트 이전이 일어날 경우 진행이 더 이상 불가능해지는 문제
  • 아르고 + 벨 글레이브 공격으로 자폭 피해가 일어나는 문제
  • 보이드 타일셋에서 일부 바닥이 사라져 있는 문제
  • 클라이언트 환경에서 그렌델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문제
  • 클라이언트들이 테신의 동굴 내 거울에서 드리프터 근접 무기 외형을 설정할 수 없는 문제
  • 나르메르 파괴 작전 미션에서 칼이 카메라와 상호작용한 후 조준선을 아래로 내릴 수 없는 문제
  • 잠재적인 자칼 진행 불가 문제

    플레이어 여러분께서 제보해 주신 자칼 진행 불가 문제의 원인을 확보하였으며, 현재 최우선으로 빨리 해당 문제를 고칠 수 있도록 작업 중에 있습니다. 안타깝사오나 금요일 오후 핫픽스 시간까지는 안전하게 문제를 해결할 만한 방안을 찾지 못하였으므로, 그 다음 주 첫머리에 해당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작업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해당 문제의 발생을 피하려면, 자칼의 다리를 한 번에 하나씩만 파괴하고, 범위 피해를 이용해 자칼을 공격하지 않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와 같은 상황이 이상적이지 못하다는 것은 이해하오나, 해당 문제를 해결할 안정적인 방안을 준비하는 동안 기다려 주실 수 있으시다면 감사하겠습니다.


    나르메르 파괴 작전 진행 불가 문제

    가장 최신으로 나간 핫픽스 후 칼의 나르메르 파괴 작전 도중 콘솔을 통해 특정 카메라에 접속할 시 진행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24시간 내로 해당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작업 중이며, 자세한 내용은 본 스레드 내의 관련 공지를 참조해주세요.


코드 변경을 필요로 하는 알려진 문제점:
다시 한 번 알려드리자면, 이 목록의 문제들을 고치기 위해서는 콘솔 인증 빌드를 필요로 하며 핫픽스로는 수정될 수 없는 문제점들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공식 워프레임 업데이트 용어집 게시글을 참조해주세요.

  • 스카우트 착륙정을 사용할 시 도킹 위치가 간혹 맞지 않는 문제가 있습니다.
  • 새로 추가된 두비리 도장 방을 건설할 경우 심각한 스팟로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 라스트 개스프로 전이할 시 카메라 움직임 방향이 잘못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 자기 자신의 프로필을 볼 시 심각한 지연 현상이 발생합니다.

업데이트 문제, 런처 문제, 컨트롤러 문제 등의 관련 공지 및 임시 해결방법 등은 아래 스레드에 이어지는 글을 참조해주세요.

자주 확인해 주세요! 향후 핫픽스에서 고쳐질 알려진 문제점들에 대하여 본 스레드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할 예정입니다.

Link to comment
Share on other sites

두비리의 잔향: 런처 시작 즉시 크래시가 발생하는 문제

해당 문제는 현재 컴퓨터 이름에 유니코드 문자가 포함되었거나, 런처가 코어 파일을 업데이트하려는 도중 런처를 종료했던 플레이어분들에게 높은 확률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런처가 시작되지 않는 문제를 계속해서 겪고 계실 경우, 번거로우시겠으나 다소의 수동 파일 조작이 필요하며, 만약 컴퓨터의 게임 내 파일을 조작하는 데 자신이 없으신 경우, 가장 안전한 방법으로 워프레임을 삭제 후 다시 실행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기술적인 부분에 익숙하신 분이라면, 아래와 같은 절차를 따라주세요:

  • 워프레임 런처의 파일을 찾아주세요 (아래 경로는 예시로, 워프레임을 기본 경로에 설치하지 않았다면 파일 경로가 다를 수 있습니다)
    • 윈도우 스탠드얼론 클라이언트: %localappdata%\Warframe\Downloaded\Public\Tools\CEF3_1\V7\
    • 스팀 클라이언트: C:\Program Files (x86)\Steam\Steamapps\Common\Warframe\Tools\CEF3_1\V7\
    • 에픽 클라이언트: C:\Program Files (x86)\Epic Games\Warframe\Downloaded\Public\Tools\CEF3_1\V7\
  • 공식 웹사이트에서 icudtl.zip을 다운로드해 주세요: https://content.warframe.com/V7_icudtl.zip
  • 런처가 현재 실행 중이라면 반드시 종료해 주세요.
  • icudtl.zip을 압축 해제하고 안의 icudtl.dat 파일을 위 단계에서 찾은 "V7" 폴더 안에 넣어주세요 (icudtl.dat, 10462432바이트, CRC BBBB1B13)
  • 워프레임 런처를 실행해 주세요.

게임을 재설치하거나, 누락된 리소스를 수동으로 넣으면 런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업데이트를 시작할 겁니다.
이후로도 계속 런처와 관련한 문제를 모니터링해나갈 예정입니다.

불편을 끼쳐드려 죄송합니다!

Link to comment
Share on other sites

PC에서 컨트롤러 조작이 작동하지 않는 문제

해당 문제는 컨트롤러 추천 공식 레이아웃이 갱신되며, 업데이트 후 해당 데이터를 포팅하는 데 다소의 지연이 있어 발생한 문제입니다.

현재 워프레임을 플레이할 시 Steam Input을 사용 중이신 경우 (예: 기기 자체의 XInput으로는 작동되지 않는 PS4 혹은 스팀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등), 스팀을 재시작하여 리스트를 새로고침하고, 스팀에서 워프레임 컨트롤러 설정을 수정하여, 레이아웃을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PlayStation, Xbox, Nintendo Switch, Steam, Steam Deck 컨트롤러별 레이아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사용하시는 컨트롤러에 맞는 레이아웃을 선택하시면 문제가 해결됩니다.

image.png

Link to comment
Share on other sites

해독기 사용 & 나르메르 파괴 작전 기능 상실 문제

33.6.1 핫픽스 이후 해킹 시퀀스 도중 해독기 사용을 빠르게 연속으로 입력하려 할 시 입력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가 확인되고 있습니다. 불편을 끼쳐드려 죄송하오나, 해당 문제의 해결을 준비하는 동안 이 문제를 피하시려면 해킹 시 해독기 사용 버튼 혹은 키를 한 번만 누르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또한 나르메르 파괴 작전 미션 도중 일부 경우 카메라 접속 시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 또한 확인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칼을 완전하게 조종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해당 문제의 특성상 프리즌 브레이크 뮤렉스 미션에서는 해당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 또한 알려드립니다.

개발진은 해당 문제에 대해 인지하고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준비 중입니다.

 

Link to comment
Share on other sites

스팀 덱의 8월 시스템 업데이트 이후 스팀 덱에서 로그인이 불가능해지는 현상이 보고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해결 방안이 마련될 때까지 스팀 덱에서의 시스템 업데이트를 잠시 보류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Link to comment
Share on other sites

Guest
This topic is now closed to further replies.
 Share

×
×
  • Create New...